티스토리 뷰

청소년 심리학

행동주의적 상담

당신의정보도우미 2019. 9. 26. 15:06

행동주의적 상담 행동주의는 러시아의 생리학자였던 파블로프가 소화과정을 연구하기 위하여 개의 침샘을 연구하던 중 우연히 발견한 조건형성의 원리에 기초하여 미국의 왓슨이 발전시킨 심리학 분야의 중요한 이론체계이다. 인간은 환경에 의하여 형성된다고 주장한다. 즉, 인간의 행동은 자극과 반응에 의하여 형성된 연합학습의 결과이며, 성격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된다. 예컨데, 이타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과거에 이타적인 행동을 했을 때 칭찬을 ㅇ받았거나 혹은 잣니이 원하는 것을 얻었던 경험이 반복되면서 학습된 결과라고 본다. 초기의 행동주의자들은 인간은 좋지도 나쁘지도 않은 상태로 이 세상에 태어나며 환경의 자극에 의해 반응하는 유기체로 보았다. 인간의 행동은 유전과 환경의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되며 학습된 부정적 혹은 긍정적 습관으로 구성되고 생활환경이 제공하는 강화의 형태와 그 빈도에 의해 결정된다고 주장하였다. 최근에는 환경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면이 강조되면서, 인간의 자유와 의지적 선택을 중심으로 한 인간의 능동적인 측면이 강조되는 경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행동주의 이론은 고전적 조건형성론, 조작적 조건형성론, 사회학습이론의 세가지로 나눌 수 있다. 고전적 조건형성론에는 유기체에 나타나는 소위 반사라 불리는 행동의 양상이다. 우리가 뜨거운 커피포트에 손을 닿았을 때 반사행동에 의해 즉각적으로 손을 치우게 되거나 강한 빛이 눈에 들어오게 되면 눈동자는 자동적으로 작아지게 된다. 모든 종류의 반사반응은 의식적 노력없이 일어나는 행동의 형태이다. 왓슨은 생후11개월 된 알버트라는 아이에게 실험을 하였다. 처음에 알버트는 흰 쥐를 보고 공포를 느끼지 않았지만 알버트가 흰 쥐를 손에 닿을 때마다 큰 소리를 들려주었고 이렇게 쥐와 큰소리를 여러번 짝 지어 제공했을 때 알버트는 드디어 흰 쥐를 보고 울기 시작했다. 행동주의적 상담에서의 알버트는 개나 털코트와 같이 털이 있는 물체에도 공포를 느꼈으며 털수염난 산타클로스의 얼굴에도 의심스러운 태도를 가지게 되었다. 만약 공포가 계속되어싸면 크리스마스에 길가에 장식된 산탘르로스에 대해서도 이유를 모르는 두려움을 가지게 되었을 것이다. 이러한 많은 경우의 공포는 단순희 조건형성된 반응이며 오래 되어 잊어버렸을지도 모르는 어린시절 나타난 자극의 연상을 통해 학습된 것이다. 파블로프는 음식에 의해서 어떤 벨소리에 타액분비를 조건형성시킨 다음 다른 벨소리를 들려주었을 때 음시을 주지 않았다. 이런 실험을 계속 하자 개는 곧 다른 벨소리가 아닌 원래의 벨소리에만 반응하여 타액을 분비하는 것을 학습하게 되었다. 이것이 자극의 변별이라고 불리는 현상이다. 조작적 조건형성은 두 종류의 강화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음식, 칭찬, 토큰과 같은 바람직한 보상을 주는 정적 강화와 유기체를 고통스럽게 하거나 불쾌하게 하는 부적 강화이다. 이 부적 강화에서 도피행동과 회피행동을 볼 수 있는데 개를 장애물 상자라 부르는 곳에 있게 하고 부적 강화로 전기 쇼크를 준다. 장애물 상자는 가운데를 장애물로 가로막아 2개의 방으로 만든 다음 한 방에는 바닥에 전선을 깔아 스위치를 누르면 전기가 흐르드록 되었고 다른 방은 안전 쇼크를 주었을 때 이개는 장애물을 뛰어넘어 안전한 방으로 가는 것을 신속하게 학습하였다. 이러한 행동은 조작적 도피라 한다. 이번에는 전기쇼크가 주어지기 전에 몇 초 동안 불이 켜지거나 혹은 몇 초간 껴지게 하엿더니 개는 신호가 바뀌기 전에 신속하게 전기 쇼크를 피할 수 있었는데 이러한 행동을 조작적 회피라 한다. 

 

행동주의적 상담 안에서의 불안을 일으키는 사건에 대한 많은 방어들도 조작적 도피나 회피의 형태로 나타난다. 비난 받을까 봐 걱정하는 사람들을 종종 그들의 행동을 지나칠 정도로 사과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은 아마 그가 어린 시절에 어머니에게 용서를 빌었을 때 어머니는 비난을 멈추었고 애정을 주었던 경험 같이 과거에 불안으로부터 도피하는 성공적인 방법으로 조건형성된 조작적 행동의 형태일 것이다. 사회학습이론에는 인간은 기본적으로 성격이 학습을 통해 형성된다는 전통적인 행동주의적 관점을 지지하면서도 인간은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능동적 존재라고 하는데 이것을 상호결정론이라고 한다. 상호결정론이란 환경이 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행동도 역시 환경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이 상호결정론은 관찰학습과 자기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데 관찰학습이란 모델이 되는 사람을 관찰함으로써 새로운 행동을 습득하는 것을 말한다. 오빠가 책을 읽고 칭찬을 받는 것을 본 동생은 오빠를 모델로 하여 책을 읽기 시작한다. 오빠가 공부하면서 야단을 심하게 맞은것을 본 동생은 공부하면서 무서운 처벌이 떠올라 공부를 기피하게된다. 현대의 행동치료는 체계적이고 구조화된 상담 접근을 의미하는 인간 행동에 대한 과학적 견해에 기초한다. 이 견해는 인간이 사회문화적 조건형성의 부산물이라는 결정론적 가정에만 의존하는 것은 아니다. 최근에는 인간이 환경을 만들기도 하고, 동시에 환경에 의해 만들어진다고도 보고 있다. 철학적으로 행동주의 접근과 인본주의 접근은 정반대처럼 보이지만, 최근행동치료 상담자들은 이들의 성공적인 통합의 가능성이 만들어지고 있다고 말한다. 행동의 자극 반응 모형에 기초를 둔 인간 본성에 대한 경직된 환경론적 견해에 대해서 반두라는 신랄하게 비판하였다. 아울러 최근 많은 학자들이 인본주의적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서 행동주의적 방법을 사용하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고 한다. 즉 행동주의적인 주장과 인본주의의 접근의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청소년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제경제학 학문에 정의  (0) 2019.10.04
경제학의 연구방법 대상  (0) 2019.10.04
인간중심적 심리치료기법  (0) 2019.09.25
인간중심적 상담의 이해  (0) 2019.09.24
상담의 기법과 절차  (0) 2019.09.23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