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상담 동기의 부족 - 청소년기의 경우 상담실을 비자발적으로 방문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 청소년은 자신이 낯선 곳에 와 있따는 것 자체가 불안과 두려움을 야기하여 청소년 내담자를 위축시킨다. 청소년 상담자는 이와 같은 청소년 내담자들의 행동과 태도를 인지하고 적절한 기술을 습득해야 한다. 청소년 내담자의 부모에 못지 않은 내담자에 대한 극진한 예절과 예후,호소문제 밖의 것들 예를 들어 가수, 노래, 유행과 패션, 그리고 오늘의 시사문제를 다루기, 그리고 탁구나 실내 게임의 용 등을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2.상담자의 대한 오해- 청소년들은 상담자를 부모와 같은 어른으로서 자신을 심판하거나 처벌하기 위한 존재로 생각하고 방어적이거나 적대감을 갖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상담자를 자신을 지지해 주는 지..
청소년 상담 . 상담이란 단순히 충고하고 지시하고 공감적으로 경청하고 관심을 보이는 것과는 구별되는 과정이며 기술이다. 상담은 특벽한 능력을 가진 상담자와 정상적인 내담자와의 대면 관계에서, 내담자가 자신에게 만족하고 사회에 도움이 되는 방법으로, 자신의 성격과 잠재력을 사용할 수 있고 미래의 문제해결 방법을 배울 수 있게 자신을 이해하도록 돕는 것이다. 즉, 상담이란 도움을 필요로하는 사람이, 전문적 훈련을 받은 사람과의 관계에서 생활과제의 해결과 사고, 행동및 학습과정을 통해 내담자 스스로가 효율적으로 의사결정을 하고 여러 심리적인 특성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시키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내다자의 성장과 발전을 촉진하는 심리적인 조력의 과정인 것이다. 상담은 전문 상담자에 의해서 제공되는 전문적 활동이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