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세계 경제위기를 살펴보기 전에 이제 눈을 돌려 세계 경제를 살펴보고 향후 10년을 전망해보자. 한국 경제의 위기가 갈수록 심화하는 가운데 세계 경제까지 지뢰밭이다. 1998년 외환위기 직후에는 그나마 세계 경제는 상황이 좋아 한국이 수출 위주로 경기를 재빨리 회복할 수 있었다고 한다고 한다. 하지만 지금은 국내 안팎의 경제 상황이 동시에 안 좋다. 더구나 지금의 세계 경제위기는 단시일 내에 호조로 돌아설 것 같지가 않고 향후 5년 이상 장기 침체 또는 저성장을 각오해야 할 것 같다.당장 눈앞에 다가오는 것은 유럽을 중심으로 점증하고 있는 세계 경제위기 2막이다. 알다시피 2008년 9월 15일 글로벌 투자은행 중 하나인 리먼 파산을 계기로 미국발 세계 금융위기가 화산처럼 폭발했다고 한다. 당시 금융위..
천연자연과 근본자원을 살펴보면 1959년 네덜란드 앞바다에서 대규모 가스전과 유전이 발견됐다. 훗날 북해 유전으로 이름 붙여진 세계 4대 유전 가운데 하나다. 네덜란드는 가스와 원유 수출로 엄청난 오일달러가 쏟아져 들어와 호황을 누렸다. 문제는 그때부터 시작됐다. 오일달러가 들어오면서 통화가치가 급등했고, 물가가 뛰자 덩달아 임금이 오르고 다시 물가가 뛰는 악순환이 이어지면서 네덜란드 제조업의 경쟁력은 급격히 하락했다고 한다. 국민은 더 많은 복지를 요구했고 근로의욕은 떨어져 불법파업과 공장 폐쇄가 잇따랐다. 이런 와중에 1973년과 1979년 두 차례의 석유 위기는 네덜란드 경제를 완전히 나락에 빠뜨렸다. 1981~1983년 당시 국민소득은 8분기 연속 감소했고, 30만 개의 일자리가 사라졌다고 한다고..
경제 심리적 효과을 살펴보면 히말라야 산맥 아래 인구 75만 명의 작은 나라인 부탄은 한때 행복한 나라의 대명사로 여겨졌다. 1972년 당시 부탄 국왕은 ‘국내총생산’ 대신‘국민 총 행복’이라는 신개념을 도입해 국제사회의 이목을 끌었다. 1인당 국민소득이 2,000달러에도 못 미치는 가난한 나라임에도 국민의 97%가 행복하다고 답할 정도여서 ‘행복은 GDP 순이 아니다.’라는 주장의 근거로 흔히 인용되었다. 하지만 최근 들어 부탄에도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고 한다라고 주장되고 있다. 먼저 행복지수 순위가 예전 같지 않다. 2006년 영국 레스터 대학교 조사에서는 8위, 2009년 영국 신경제 재단 조사에서는 17위에 그쳤다. 그 이면에는 컬러텔레비전의 보급과 2005년 세계 최초의 담배 판매 전면 금지..